제1부 녹도진과 쌍충사

2. 도양읍•도덕면의 인문 환경

녹도진 2025. 1. 12. 14:04

2. 도양읍도덕면의 인문 환경

  1) 도양읍도덕면의 위치와 환경

도양읍도덕면은 고흥군 남서부에 위치하는데 동쪽에는 풍양면고흥읍과 육지와 간척지로 연결되어 있고,

남쪽은 바다를 경계로 금산면과 인접하고 있다. 서쪽과 북쪽은 득량만을 사이로 장흥군, 완도군, 보성군과 경계하고 있다. 조선시대까지는 동쪽 경계 400m 정도가 육지인 풍양면과 연결되어 있었고 나머지가 모두 갯벌과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중앙 정부로부터 도양도(道陽島, 또는 녹도)라는 섬으로 취급받아 왔다.(그림 참조)

물과 풀이 풍부하여 도양목장소록도목장우슬목장시산도목장이 설치되었고 제주도의 말을 함길도로 들여보낼 때 반쯤 살찐 것은 먼저 보내고, 야위고 약한 것은 도양곶(道陽串)에 방목하여 다시 회복되기를 기다려 함길도로 보내게 하였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은 기아와 전염병을 극복하고 수군 전투력 향상을 위해 도양읍도덕면 일대에 도양장(道陽場)’이라는 둔전을 설치하여 부족한 군량미 생산에 새로운 개념의 둔전 경영 아이디어를 창안하였고 임금님께 장계도 올렸으며 윤허도 받아 군량미를 생산하여 큰 성과를 거뒀다고 난중일기장계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 도양읍도덕면의 연혁

538년 백제 시대 : 도량부곡

1310년 고려시대 : 도양현 승격

1441년 세종 23년 본 군 7현을 흥양현으로 통합

149010월 조선시대 : 녹도진성 축조 (성종 21)

1593년부터 이순신 장군은 도양읍도덕면 일대에 도양장(道陽場)’이라는 둔전을 설치하여 군량미를 생산하였고 이를 조선 수군에게 제공하여 일본군을 물리치는데 크게 기여함

1759, 영조 35: 도양면

189551: 태강현, 남양현, 두원현, 도화현, 도양현, 풍안현, 흥양현이 "흥양군"으로 개편

189684: 득량도-완도군소속, 소록도-돌산군 금산면소속, 시산도-돌산군 봉래면소속, 상하화도-돌산군 금산면 소속, 오마도-돌산군 금산면 소속

191431: 흥양군고흥군으로 명칭 변경

191431: 득량도-완도군에서 고흥군 도양면에 편입

197371: 도양읍으로 승격, 도덕출장소 설치

1983215: 도덕출장소가 도덕면으로 승격되어 도양읍과 도덕면으로 발전하게 됨

 

 

 

 

참고문헌

. 고흥군 홈페이지

나나. 쌍충 역사자원 연구 2021 제장명, 이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