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도양장(道陽場)

4. (가칭)이순신 군량미길 조성을 위한 답사

녹도진 2025. 1. 13. 10:51

4. (가칭)이순신 군량미길 조성을 위한 답사

 

1) (가칭) 이순신 군량미길

임진왜란 당시 도양장(道陽場)에서 생산한 군량미를 조선수군에게 가장 많이 제공함으로써 이순신 조선수군의 막강한 전투력 향상에 큰 역할을 하였던 곳이 도양장(道陽場)이다. 즉 다시 말하면 도양장(道陽場)은 오늘날 도양읍과 도덕면 일대이다. 먹어야 훈련도 하고 전투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군수품이 군량미였다. 이렇게 중요한 군량미를 이순신 장군은 난중일기에 수십 번 언급하였다. 특히 도양장(道陽場) 군량미에 관한 기록이 가장 많이 언급(난중일기에 11일치)되었고 임금님께 특별히 장계도 올렸으며 윤허도 받았다.

도양장(道陽場)에 해당하는 도양읍과 도덕면 일대에 ‘(가칭)이순신 군량미길을 지정하여 걷기 행사등 이벤트 행사를 진행한다면 이 지역 사람들에게는 커다란 자부심으로 다가올 수 있고 고흥군 농업 생산물 브랜드화와 관광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길은 임진왜란 당시 녹도진의 일부였던 쌍충사를 출발하여 평화마을을 경유하고 차경, 안평 마을과 간척지 들판을 지난다. 군량미를 직접 관리했던 도양 둔전관이 근무한 관중 마을을 경유하여 원동 마을과 구렁목을 넘어 도덕면 어영마을을 지나고 도덕면 소재지 학동마을에서 우슬목장(성항마을)쪽으로 이동하면 신양리 둔전 들판을 마주하게 된다. 장전(場前, 목장 앞을 의미)마을에서 잠시 마을의 유래를 살펴보고 가야리 가동마을에 이르면 가야리 둔전 들판과 득량만 바다를 훤히 볼 수 있다.

군량미를 생산하여 녹도진까지 배로 이송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아름다운 바다 득량만(得糧灣)은 이순신 장군이 조선수군을 재건할 때 연해안에서 확보한 군량미와 무기를 해상 의병들의 지원을 받아 이송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고 주력 전투선인 판옥선 열두 척도 인수받은 바다였다. 이 득량만 해안로를 따라 ‘(가칭)이순신 군량미길은 우슬목장터부터 녹도진과 쌍충사까지 해안길로 이어진다.

조선시대 녹도진의 관문이었던 문관에서 시작한 ‘(가칭)이순신 군량미길 5코스는 그 당시 해안선인 농로길을 따라 외봉마을까지 이동하면 봉덕리 둔전 들판을 볼 수 있다. 야트막한 고개를 넘어 율동마을에 이르면 당시 조선시대 해안선인 농로길을 따라 덕흥, 도촌마을에 이른다. 도촌과 백옥마을 사이에는 1890년대 도양장 감목관 출신이었던 한억길이 쌓은 북어포 방죽이 있다. 이 북어포 방죽으로 생긴 간척지는 조선시대 궁중답으로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가칭)이순신 군량미길 5코스는 백옥마을에서 농로를 따라 관중마을까지 이어진다.

 

 

2)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난중일기속 도양장(道陽場) 군량 관련 기록

1595213(병진) 맑음.

일찍 대청에 나가고 도양(道陽)의 둔조(屯租) 3백 섬을 싣고 와서 각 포구에 나누어 주었다. 우수사(이억기)와 진도군수(박인룡), 무안 현감, 함평 현감(조발), 남도포 만호(강응표), 마량 첨사(강응호), 회령포 만호(민정붕) 등이 들어왔다.

 

 

15951113(신사) 맑음.

도양장(道陽場)에서 거둔 벼와 콩이 82십 섬이었다.

 

1596년 윤819(계미) 맑음.

녹도(鹿島)로 가는 길에 도양(道陽)의 둔전(屯田)을 살펴보았다. 체찰사(이원익)는 얼굴에 희색이 만연했다. 녹도에 도착하여 잤다.

 

 

3) 답사 코스

1코스-->거리: 5.0km, 걷는 시간: 2시간 00
녹도진북촌마을평화마을신정마을차경마을현대병원안평마을유전마을농로법성사도양장(둔전관터)법성사상유마을용정 선무원종공신비신정마을평화마을녹도진
2코스-->거리: 8.0km, 걷는 시간: 3시간 00
도양장 둔전관터법성사원동마을구렁목어영마을덕흥마을(상마당)학동마을장전마을가동마을성항마을(우슬곳)
3코스-->거리: 10.7km, 시간: 4시간 30
도양장 둔전관터장수마을장예마을고흥우주천문과학관잠두마을녹동방파제녹도진(쌍충사)

 

4코스-->거리: 7km, 시간: 2시간 30
도양장 둔전관터장계교차로신흥마을가동마을성항마을(우슬곳


도로 건설중

5코스-->거리: 9km, 시간: 3시간 20
도양장 둔전관터백옥마을북어포도촌마을 입구 덕흥마을율동마을외봉마을문관삼거리


조선시대 당시 해안선 따라 걷기

 

 

4) 답사 일정 및 설명회 사진 자료

1차답사: 24.01.16(1코스) 2차답사: 24.02.204(2코스)



3
차답사: 24.03.09(3코스)


4
차답사: 24.04.21(5코스)




설명회
: 24. 7. 1. 두원 북카페
 

설명회
: 24. 7. 3. 관중마을 회관
 

 

 

 

참고문헌

1. 신완역 난중일기 교주본 이순신 저, 노승석 역주

2.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1, 2권 이민웅, 정진술, 양진석, 김경숙, 노영구, 이현진, 김남기